본문 바로가기
생활정보

우유 단백질 종류 정리

by 정보통과 2025. 6. 9.
반응형

우유 단백질 종류 정리


우유는 단백질이 풍부한 식품으로, 주요 단백질은 크게 **카제인(Casein)**과 유청 단백질(Whey protein)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. 이 두 단백질은 구조와 소화 속도, 생리적 효과 등에서 차이를 보이며, 건강과 운동, 식이요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.



카제인 단백질 (Casein Protein)


우유 단백질의 약 80%를 차지하며, 산이나 효소에 의해 응고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. 치즈나 요거트 제조 시 이 단백질이 주로 사용됩니다.

소화 속도: 느림 → 장시간 아미노산 공급 가능

형태: 미셀(micelle) 구조로 존재하여 안정성이 높음

장점: 근육 유지, 야간 단백질 공급에 효과적

알레르기 유발 가능성: 일부 사람은 카제인 알레르기에 민감할 수 있음

종류: α-카제인, β-카제인, κ-카제인 등 세부 유형 존재


유청 단백질 (Whey Protein)


우유 단백질의 약 20%를 차지하며, 치즈 제조 시 카제인이 응고된 후 남는 액체 부분에서 얻는 단백질입니다. 가수분해 및 농축, 분리 등의 과정을 통해 다양한 보충제 형태로도 많이 사용됩니다.

소화 속도: 빠름 → 운동 직후 섭취에 유리

아미노산 구성: 류신, 아이소류신, 발린 등 BCAA가 풍부

생리 활성 성분: 락토페린, 면역글로불린 등 함유

종류: WPC(농축형), WPI(분리형), WPH(가수분해형)


기타 소단백질


락토페린 (Lactoferrin): 철 결합 단백질로 항균, 항염 작용

면역글로불린 (Immunoglobulin): 면역 반응에 기여

알부민 (BSA, β-Lactoglobulin 등): 단백질 전달 기능 수행


우유 단백질과 건강


성장기 어린이: 뼈 건강 및 성장에 기여

운동 후 회복: 유청 단백질이 특히 효과적

노년층: 근감소 예방에 도움

체중 조절: 포만감 증가 및 근육 유지에 기여






반응형

댓글